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주택자가 내 집 마련을 할 때 필요한 디딤돌대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딤돌대출 금리, 한도, 조건 등에 대해서 찾아보겠습니다.
| 대출 기간 및 금리
디딤돌대출의 기간은 최대 30년이며,
신규로 주택을 구입할 때와 전세자금 반환 or 기존 주택담보대출을 상환 시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디딤돌대출의 기본 금리는
연 2.15~3.00%이며 연 소득과 대출 기간에 따라 상이하게 나옵니다.
부부합산 연 소득 | 대출 기간 | |||
10년 | 15년 | 20년 | 30년 | |
2천만 원 이하 | 연 2.15% | 연 2.25% | 연 2.35% | 연 2.40% |
2천만 원 초과 4천만 원 이하 |
연 2.50% | 연 2.60% | 연 2.70% | 연 2.75% |
4천만 원 초과 6천만 원 이하 |
연 2.75% | 연 2.85% | 연 2.95% | 연 3.00% |
현재 3%의 기준 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적용되며,
추가로 우대 금리까지 적용받으면 매우 저렴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우대금리
추가 우대 금리는
중복 적용 불가능한 부분과 중복 적용이 가능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1) 중복 적용 불가
-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의 한 부모 가정 : 연 0.5%
- 장애인, 다문화, 신혼가구,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 연 0.2%
2) 중복 적용 가능
- 청약저축 가입자 : 가입 기간 및 납입 횟수에 따라 연 0.1%~0.2%
-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 : 연 0.1%
- 다자녀 가구 : 자녀 수에 따라 연 0.3%~0.7%
- 신규 분양 주택 : 연 0.1%
| 대출한도
디딤돌대출의 대출 한도는
가구 형태에 따라 2.5~3.1억 원 적용할 수 있습니다만,
DTI 60%, LTV 70% 범위 내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본인의 부채 상황, 주택 매매가격에 따라 한도가 줄어들 수 있음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가구 형태에 따른 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기본 : 2.5억 원
2) 신혼가구 : 2.7억 원
3) 2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 : 3.1억 원
| 대출 조건
디딤돌대출의 조건은 아래의 네 가지를 충족하시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매매 계약
- 이전 버팀목대출과 마찬가지로 주택을 계약을 체결한 이후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2) 무주택자
- 신청자 본인을 포함한 세대주 및 세대 전원이 무주택이어야 합니다.
3) 소득 조건 충족
- 기본 소득 요건은 부부합산 6천만 원 이하이지만, 신혼 가구,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다자녀 가구의 경우 7천만 원 이하로 완화되었습니다.
4) 자산 기준 충족
- 신청인과 배우자의 자산 합계액이 4.58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
| 대상 주택
디딤돌대출 대상 주택은
전용면적 85㎡ 이하이고, 평가액이 5억 원 이하의 주택입니다.
| 수탁 은행
수탁 은행은
우리, KB, IBK, NH, 신한 입니다.
|미혼 가구 대출 조건
마지막으로!!
미혼 가구의 경우 아래 3가지 요건으로 축소되오니 잘 살펴보셔야 합니다.
1) 만 30세 이상만 가능합니다.
2) 60㎡ 이하의 주택에 적용됩니다.
3) 1.5억 원까지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미혼 가구의 요건이 조금 완화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오늘은 내 집 마련을 위한 디딤돌대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ft.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여부) (0) | 2023.02.05 |
---|---|
2023년 실업급여 알아보기(실업급여 조건, 금액 변경사항) (0) | 2023.02.04 |
서울시 청년 주택지원, 청년 월세지원 알아보기 (0) | 2022.12.05 |
청년 내일채움공제 조건, 신청 등 알아보기 (0) | 2022.12.01 |
[청년]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조건, 한도 변경 조회 (ft. 디딤돌대출) (0) | 2022.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