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

2023년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ft.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여부)

by 블랙복숭 2023. 2.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 계좌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청년 금융지원 정책으로 청년도약 계좌가 있었습니다.

청년들이 10년 동안 저금을 하여 1억 원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윤석열 정부의 공약이었습니다.

하지만 기간 및 예산 등의 사유로 101억 원은 아닌 것으로 나왔습니다.

결국, 5년 만기 5천만 원으로 청년도약 계좌가 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은 정확하고 구체적인 청년도약 계좌의 상세내용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대략 어떤 것이 청년도약 계좌인지 가입 대상 및 조건, 납부 금액 등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1. 청년도약 계좌란?

- 현 정부의 청년 대상 공약 중 하나로서 6월 출시 예정인 금융상품입니다.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 적금 정책이며 근로, 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이 매달 40~70만 원을 5년 동안 납부하면 예금이자와 더불어 정부지원금을 지원하여 최대 6%까지 추가 지원해주는 적금상품입니다.

2. 가입 대상

- 19~34세 청년으로 병역이행 기간(최대 6)은 미포함됩니다.

- 소득 조건은 정부 매칭 지원금 대상과 비과세 혜택만 받는 대상이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자, 배당소득 비과세 대상
-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청년 혹은(or)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청년
정부 매칭 지원금과 이자, 배당소득 비과세 2종 혜택 대상
-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이면서(and)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청년

 

위와 같이 이전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은 소득수준에 따라 가입이 어려울 수 있었던 것에 비해 이번 청년도약 계좌는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이상인 청년들도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점이 차이점으로 보입니다.

정부 매칭 지원금을 받는 조건에서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청년으로 되어있으니 가구소득 180%는 얼마인지 잠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구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게 되어있으니, 우리는 1인 가구부터 6인 가구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1. 가구 소득 180%

- 1인 가구 : 3,740,206

- 2인 가구 : 6,221,079

- 3인 가구 : 7,982,669

- 4인 가구 : 9,721,735

- 5인 가구 : 11,395,238

- 6인 가구 : 13,010,365

 

위의 가구원 수 별 180% 가구소득 금액을 작성해 두었으니 본인 가구의 소득금액과 비교하여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본인의 소득이 연 6,000만 원 이하면서 위 가구소득 이하의 금액이시면 정부 매칭 지원금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면 청년도약 계좌 납입금액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 납입 금액과 정부 매칭 지원금

- 월 최대 70만원 한도로 납입할 수 있습니다.

- 정부 매칭 지원금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소득비례별 최대 월 40만 원의 지원금이 지원될 것이라고 합니다.

기존에는 최소 금액이 월 40만 원이라는 조건이 있었지만 20221115일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최소 가입금액이 없는 자유 적립식 상품으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저소득층 청년들의 소득을 고려하여 매달 40만 원의 저축이 쉽지 않다는 점을 배려한 내용으로 파악됩니다.

기존 청년희망적금은 2년짜리 적금상품으로 최대 납입 시 원금 1,200만 원과 이자 소득 985천원으로 만기 시 12,985천 원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청년도약 계좌의 경우는 5년짜리 상품으로 최대 납입 시 원금 4,200만 원과 이자 소득 및 정부 매칭 지원금 800만 원으로 만기 시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청년희망적금과 중복가입이 가능할까요?

4.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 가능 여부

- 미정(협의 중이라고 합니다.)

아직 세부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아 정확한 비교가 어렵지만 이전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가입 조건이 낮아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가입시기

- 20236월부터~

 

현재는 가입 시기만 나와 있을 뿐 가입 방법 및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 가능 여부 등 세부적인 내용이 아직 협의 중이라고 합니다.

많은 청년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중이니 속히 세부적인 내용이 발표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추후 청년 희망 도약 계좌의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면 다시 정식으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정부의 지원정책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포스트 코로나로 아주 힘드신 시기를 보내고 계실 분들에게 작은 희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