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

2023년 파킹통장 금리비교(ft.자유입출금통장 금리비교)

by 블랙복숭 2023. 2. 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킹통장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나와 있는 수시입출금 통장에 대한 금리를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사실 요즘 금리가 많이 올라 대출이자가 부담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문득 대출이자가 오르는 것에 비해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파킹통장의 이자율이 높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은행사별 파킹통장(자유 입출금통장)의 금리를 비교해보고 더 현명한 재테크를 하고자 합니다.

현재 저는 파킹통장으로 토스뱅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작년 금리가 낮았을 때 1억원까지 2%의 이율을 지급한다는 광고를 보고 솔깃해서 토스뱅크 통장을 개설했습니다.

이자가 하루만 쌓여도 바로 이자 받기를 할 수 있어 간편했고 소액이지만 하루하루 쌓이는 이자를 보면서 즐거워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 금리인상으로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3.50%에 비해 제 파킹통장의 이자율이 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낮다고 좌절할 것이 아니라 좀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 현재 시중은행(저축은행 포함)의 파킹통장을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파킹통장이 무엇인지 궁금해하실 수 있다고 생각하여 파킹통장의 개념부터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 파킹통장이란?

- 파킹통장이라는 정확한 정의나 분류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예금의 종류 중 자유롭게 입출금이 되면서 금리도 상대적으로 높은 통장들을 파킹통장이라고 합니다. 이전에는 CMA 같은 통장들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아 파킹통장 개념으로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저축은행, 인터넷 은행을 중심으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수수료도 없는 통장들을 파킹통장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파킹통장은 장기적으로 돈을 모아 목돈 만들기에 사용하는 통장이 아닌 일시적으로 목돈이나 여유자금을 넣어두는 상품을 의미합니다.

그럼 1금융권과 2금융권을 나누어 금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은행을 비교하는 것은 어려우니 현재 비교된 다른 글들도 참고하여 금리가 높은 상품 위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제1금융권 파킹통장 금리 비교

산업은행(KDB Hi 비대면 입출금통장)

- 특징 : 비대면 실명확인 서비스로 인터넷 가입 예금, 인터넷뱅킹, 스마트폰 뱅킹, 폰뱅킹 및 자동화기기(CD/ATM) 이용 수수료 우대

- 이율 : 2.65%

 

카카오뱅크(세이프 박스)

- 특징 : 카카오뱅크 입출금통장 또는 개입사업자 통장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이 통장을 연결하여 계좌당 1개씩 개설할 수 있습니다.

- 이율 : 2.60%

- 입금 한도 : 기본한도 1,000만 원, 증액 한도 1억 원

 

케이뱅크(플러스 박스)

- 특징 : 케이뱅크 입출금통장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 및 사업자로 기존 계좌에 연결하여 개설할 수 있습니다.

- 이율 : 3.00%

- 입금 한도 : 최대 3억 원

 

토스뱅크(입출금통장)

- 특징 : 17세 이상의 실명이 개인이 11계좌 개설할 수 있는 보통예금

- 이율 : 5,000만 원 이하 2.3%, 5,000만 원 초과 4%

- 주의사항 :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되, 보호 한도는 본 은행에 있는 귀하의 모든 예금 보호 대상 금융상품의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1인당 최고 5,000만 원이며, 5,000만 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금액은 보호하지 않습니다.

 

위와 같이 1금융권에서는 대략 4개 정도의 파킹통장 후보를 추려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현재도 케이뱅크 계좌를 가지고 있어서 케이뱅크의 플러스 박스가 가장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특이한 점은 토스뱅크의 금리정보인 것 같습니다. 이전에는 낮은 금액에 대한 금리를 더 쳐주고 금액이 커질수록 이율이 낮아졌다면 이번에는 오히려 5,000만 원 초과의 금액에 대해 금리를 더 우대해 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금융 상황을 고려하면 자금의 유동성을 키우기 위한 정책으로 보입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의 선택이지만 제가 토스뱅크 내용 안에 기재하였듯이 예금자보호법에 따르면 1인당 5,000만 원의 금액까지 보호받으니 신중하게 고려하셔서 선택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어서 제2금융권에 있는 파킹통장 금리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제2금융권 파킹통장 금리 비교

애큐온저축은행(머니 쪼개기)

- 특징 : 애큐온 모바일 자유 예금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이 개설할 수 있습니다.

- 이율 : 4.10%

- 입금 한도 : 1인 최대 3,000만 원

 

페퍼저축은행(페퍼스 파킹통장2)

- 특징 : 비대면 디지털뱅킹 전용 상품으로 디지털 페퍼 앱에서 개설할 수 있습니다.

- 이율 : 5,000만 원 이하 연 3.8%, 5,000만 원 초과 연 1.0%

 

대신저축은행(더 드리고 입출금통장)

- 특징 : 비대면 계좌로 스마트뱅크를 통해서만 신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이율 : 2억 원 이하 3.6%, 2억 원 초과 0.1%

 

OK저축은행(OK읏백만통장)

- 특징 : 비대면 계좌로 OK 모바일뱅킹 App에서 가입할 수 있으며, 우대금리 항목이 있습니다.

- 이율(기본금리) : 100만 원 이하 연 4.5%, 100만 원 초과 ~ 500만 원 이하 연 4.0%,
                             500
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연 3.5%, 5,000만 원 초과 연 2.5%

- 우대금리 : 0.5%

- 우대금리 적용 조건 : 시중은행(저축은행 제외)/증권사 앱(App)에서 제공하는 오픈뱅킹에 OK읏백만통장등록 익일부터 해지일까지 적용

 

이렇게 제2금융권의 파킹통장도 비교해보았습니다. OK저축은행 상품은 우대금리 조건도 있고 금액별로 이율이 나뉘어 있어서 본인의 상황에 따라 잘 고민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2금융권이라도 상관없으신 분들은 본인이 파킹통장에 평소에 두는 금액이 500만 원 이하라면 OK저축은행 상품이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2금융권 상품이라도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5,000만 원까지는 보호가 가능하오니 긍정적으로 검토하셔서 현명한 재테크를 하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은 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제 파킹통장의 금리만 고정된 것 같은 기분에 이런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생각보다 더 높은 이자율에 조금 놀랐지만 지금이라도 알게 되었으니 더 현명한 재테크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입니다.

이 글이 같은 고민을 하는 다른 분들께도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오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