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세액감면 마지막 항목들로 중소기업 성과 보상 기금 세액감면과 조세조약에 따른 교직자 세액감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 https://www.bok-sung.com/entry/%EC%97%B0%EB%A7%90%EC%A0%95%EC%82%B0-%EC%A4%91%EC%86%8C%EA%B8%B0%EC%97%85-%EC%84%B1%EA%B3%BC%EB%B3%B4%EC%83%81-%EA%B8%B0%EA%B8%88-%EB%B0%8F-%EC%A1%B0%EC%84%B8%EC%A1%B0%EC%95%BD%EC%97%90-%EB%94%B0%EB%A5%B8-%EA%B5%90%EC%A7%81%EC%9E%90-%EC%84%B8%EC%95%A1%EA%B0%90%EB%A9%B4)
오늘은 연말정산 세액감면에 이어서 세액공제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액공제에는 일반 세액공제와 특별세액공제 항목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우리는 일반 세액공제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액공제]
1. 근로소득 세액공제
근로소득 세액공제는 근로소득으로 산출된 세액 중 일부 금액을 자동으로 공제해주는 항목입니다. 연말정산 시 자동으로 계산되는 항목이지만 계산식이 어ᄄᅠᇂ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소득 세액공제액은 산출세액의 금액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집니다.
산출세액이 13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근로소득 산출세액 X 55%의 금액을 세액공제 해줍니다.
근로소득 산출세액이 130만 원 초과일 경우에는 ‘715,000원 + (근로소득 산출세액 – 130만 원) X 30%’의 금액을 세액공제 해줍니다.
근로소득 세액공제의 공제 한도는 총 급여액에 따라 나눠집니다.
총 급여액이 3,30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공제 한도가 74만 원이며,
총 급여액이 3,300만 원 초과 ~ 7,00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74만 원 - [(총 급여액 – 3,300만 원) X 0.008]’입니다. 하지만 이 계산으로 나온 금액이 66만 원보다 적을 경우에는 66만 원이 공제 한도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총 급여액이 7,000만 원 초과일 경우에는 ‘66만 원 - [(총급여액 – 7,000만 원) X 0.5]’입니다. 이 계산으로 나온 금액이 50만 원보다 적은 경우에는 50만 원이 공제 한도가 됩니다.
특이사항으로 만약 내가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을 받는 대상자라면 근로소득 세액공제 계산식이 조금 달라집니다.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 대상자의 경우에는 ‘근로소득 세액공제 X [1-(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액 / 산출세액)]’ 의 금액으로 근로소득 세액공제액이 계산됩니다.
근로소득 세액공제액 계산이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자동 계산되니 큰 염려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근로소득 세액공제액에 이어서 자녀 세액공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자녀 세액공제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기본공제 대상 자녀(입양자 및 위탁아동 포함) 중 7세 이상의 자녀에 대해서 아래의 금액을 종합 산출세액에서 공제해줍니다. (손자·손녀는 대상이 아닙니다)
자녀 세액공제액은 공제 대상 자녀의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공제 대상 자녀가 1명일 경우 15만 원, 2명일 경우 30만원입니다.
또한, 공제 대상 자녀가 3명 이상일 경우에는 ‘30만 원 + 2명 초과 1명당 30만 원’입니다.
예를 들어, 공제 대상 자녀가 3명일 경우에는 60만 원, 4명일 경우에는 90만 원으로 세액공제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제 대상 자녀를 출산하거나 입양하였을 때는 자녀 세액공제액이 달라집니다.
첫째일 경우에는 30만 원, 둘째일 경우에는 50만 원, 셋째 이상일 경우에는 70만 원을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자녀장려금 수급자는 자녀 세액공제 중복 적용에서 배제됨(조특법§100의30②)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위와 같이 오늘은 세액공제 항목 중 근로소득 세액공제와 자녀 세액공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세액공제 항목이 꽤 다양하여 한 번에 언급하면 더 어려울 것 같으니 시간은 촉박하지만 천천히 나누어 알아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일반 세액공제 항목 중 연금 계좌 세액공제부터 이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세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세액공제, 세액공제 유의사항 및 요점정리 (0) | 2023.01.27 |
---|---|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금계좌/특별세액/월세액/납세조합/주택자금차입금 이자/외국납부 세액공제 살펴보기 (0) | 2023.01.26 |
연말정산, 중소기업 성과보상 기금 및 조세조약에 따른 교직자 세액감면 (0) | 2023.01.16 |
연말정산 세액감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과 외국인 기술자 소득세 감면 (0) | 2023.01.09 |
연말정산,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소득공제 및 소득공제 종합한도 (0) | 2023.01.02 |
댓글